반응형
SKT 삼성 갤럭시 A5 (SM-A500S)는 2015년에 발매된 제품이지고, 지금 신형 제품인 갤럭시 A5 2016(SM-A510S)이 출시되어서 거의 버스폰(공짜폰) 형태로 구매가 가능한 제품이기도 한 제품인데, 제품 사양 자체는 2016년 버전이랑 차이점이 가장 큰게 디스플레이 0.2인치가 더 커지고 A500은 HD화면이지만, A510은 풀HD로 업그레이드, 카메라 OIS기능 추가, 삼성페이 추가 정도이고 나머지 사양은 많은 차이가 나지 않는다고 봅니다. (사진 : 갤럭시 A5 2015 SM-A500S) 갤럭시 A5를 구매해서 한달넘게 사용하면서, 배터리 일체형인 대신에 얇아서 그립감도 괜찮고, 풀메탈바디 디자인도 좋고, 화면이 HD라서 바탕화면 아이콘 배열 자체가 가로줄이 4개 배치됩니다. 풀HD..
2016년 1분기 관심을 가장 많이 받은 신차가 르노삼성의 SM6(유럽명 : 탈리스만)일 것이고, 르노삼성 대리점에서 시승차가 매일 나가 있을 정도로 시승차를 구해서 타는 것 조차 어려울 정도의 인기를 끌고 있는 차량이기도 합니다. 르노삼성 영업사원한테 시승을 부탁해 놓긴 했지만, 언제 시승이 가능할지 모른다더군요. ㅠ.ㅠ 유럽에서는 르노상표로 탈리스만으로 팔리고, 국내에서는 르노삼성의 SM6로 팔리는 차량입니다. SM5가 단종되지 않았기 때문에 SM5의 고급형 모델로 SM7보다는 하위 모델이기 때문에 옛날 현대 자동차 마르샤 같은 존재로 볼 수도 있겠습니다. LED주간 주행등은 기본으로 장착되며, 이 차량은 LED퓨어 램프까지 선택한 차량은 아닙니다. 유럽형 모델인 탈리스만은 전면 그릴의 앰블럼 부분이..
불스원 크리스탈코트는 직접 마트에서 구매해서 사용했었는데, 장단점이 분명히 있는 제품 중에 하나입니다. 개인적으로 세차용품에 관심이 많아서 관심이 있는 제품들은 직접 사서 써보는 편인데, 크리스탈코트는 마트에서 행사를 해서 인터넷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살 수 있어서 충동구매했던 제품입니다. 불스원 제품들이 패키지를 상당히 신경쓰는 편인데, 크리스탈코트도 전용 극세사를 제공하고 있었는데, 극세사 품질이 나쁘다는게 아니라 이런 제품을 계속 구매하는 사람들이 제품이 좋아서 계속 구매할 경우에 극세사만 숫자만 늘어나기 때문에 극세사를 제공하지 않고 가격을 조금 더 낮춘 버전도 나와야 합니다. 불스원의 원래 계획이 전문 디테일러나 세차취미를 가진 사람들이 아닌 일반인을 대상으로 해서 극세사천이 없을 경우를 대비해서..
이스트소프트 Zum의 스윙브라우저는 나온지 좀 된 브라우저이기도 하지만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제공하는 브라우저이기도 합니다. 스윙브라우저의 최대 강점은 크롬 기반에 마이크로소프트의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쓸 수 밖에 없는 이유인 액티브X가 가능한 브라우저이기 때문에 하나로 모든 걸 할 수 있다는게 강점이고 크롬 기반이기 때문에 크롬용 앱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스윙브라우저 다운로드 사이트 http://swing-browser.com/ 스윙브라우저의 기본 홈페이지는 당연히 ZUM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마음대로 변경이 가능한 만큼 문제가 안됩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즐겨찾기 모음과 같은 역활을 하는 퀵바 설정도 가능하며,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즐겨찾기를 불러올수도 있으며, 알패스에 가..
삼성 SEM-DT35라는 키보드가 저렴한 키보드중에서 가장 국내에서 아직도 인기가 많은 제품중에 하나일 것입니다. SEM-DT35는 여러가지 버전(?)이 존재합니다. 원조격인 삼성전기 DT35와 지피전자(큐센:삼성전기에서 키보드와 마우스 부분을 분사한 회사) DT35로 크게 나눠지고, 삼성전기 버전의 DT35도 초기형과 개선버전 몇개가 있고, 지피전자(큐센) DT35도 초기버전과 개선버전들이 존재하며, 큐센이 흔들~한후에 기존 A/S를 대행하던 업체에서 큐센에서 생산을 맡겼던 공장에서 똑같이 제품을 만들어서 이름도 비슷하게 출시하고 박스 디자인도 비슷하게 만든 DT35가 또 있습니다. 회사가 흔들~하자 이 제품이 그만큼 유명하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첫번째 사진과 두번째 사진의 DT35는 삼..
일반 가솔린 대비해서 경제적인 가격으로 운행이 가능한 LPG를 연료를 사용하는 LPI승용차에 대한 관심도가 높고, 4기통 엔진을 사용하는 중형차에 탑재되는 2000cc급의 LPI 엔진보다는 국내 LPI엔진중에서 최대 배기량인 3000cc엔진을 탑재한 그랜져 HG와 K7후기형 모델과 2.7LPI 엔진을 채용한 대표적인 모델은 하나인 그랜져 TG, 오피러스, K7초기형등이 있습니다. 이들 차량들은 V6엔진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4기통 엔진을 채용한 2000cc급 차량에 비해서 정숙성이 좋고, 출력적인 면에서도 더 좋고 연비면에서는 4기통 엔진보다는 약간 떨어지긴 하지만, 저렴한 LPG를 연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같은 배기량의 가솔린이나 한 단계 아래의 배기량을 가지는 가솔린보다 경제적인 금액으로 운행이 가능..
국내에서는 AMD보다는 인텔(INTEL) 사용자수가 훨씬 많기는 하지만, 인텔의 경우에 번들쿨러가 그렇게 많은 차이가 발생하지 않지만, AMD는 CPU의 종류에 따라서 여러가지 버전의 CPU쿨러들이 있기 때문에 이 쿨러들에 대해서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이 쿨러는 AMD AM3+ 비쉐라(8코러어 FX8300)에 기본으로 제공되는 제품로서, 쿨러가 포함된 멀티팩을 구매해야 같이 오는 제품으로 AMD순정 쿨러중에서 퀄리티나 성능면에서는 가장 좋은(?) 제품중에 하나입니다. 히트파이프가 S자형 배열로 2개가 들어간 제품이고, 히트싱크 디자인도 흔히 말하는 사제쿨러 타입으로 되어 있습니다. 쿨러마스터 로고(Cooler Master)가 찍혀 있는데, 사제 쿨러 메이커중에 하나인 쿨러마스터에서 OEM으로 제작했는지 ..
엔진코팅제는 여러가지 종류의 제품들이 있으며, 특히 금속입자 중에 하나인 몰리브덴 성분(Mos2)을 사용하는 것은 엔진코팅제 뿐만 아니라 엔진오일의 기본성분에도 첨가제로 들어갑니다. 그만큼 안정적인 성분중에 하나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엔진오일 첨가제로 한두가지 엔진오일에만 들어가는게 아니라 국산차 순정오일에도 들어가고, 유명 오일 브랜드도 많이 사용하는 성분중에 하나이기 때문에 믿고 사용할 수 있다고 보면 됩니다. 직접 MOS2를 엔진에 첨가해서 사용하는 분들도 꽤 있는 것으로 아는데,완제품을 사용하는게 희석비율을 정확히 지킬 수 있고, 완제품을 사용해서 생기는 문제에 대해서는 완제품 제조사에 책임을 물을 수 있지만, 흡입하면 몸에 않좋은 MOS2를 구매해서 직접 엔진에 넣는 것은 별로 좋은 생..
국내 3사의 소형 SUV차량인 쌍용자동차 티볼리(에어)와 르노삼성의 QM3, 쉐보레의 트랙스 엔진사양 비교 포스팅을 시작합니다.르노삼성의 QM3만 디젤 엔진 한가지만 선택이 가능하고, 쉐보레의 트랙스와 쌍용의 티볼리는 가솔린과 디젤 엔진중에 선택이 가능하며, 새로 출시한 기아자동차의 가솔린 하이브리드 모델인 니로는 가솔린 엔진+모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를 채용했습니다. 쌍용자동차의 티볼리 에어는 디젤 모델만 출시했기 때문에 엔진에 대한 선택권이 없으며, 티볼리 숏바디 차량은 자연흡기 가솔린과 디젤중에 선택이 가능합니다. 트랙스의 가솔린 엔진은 1400cc 터보엔진이기 때문에 티볼리의 자연흡기 엔진에 비해서 출력이 더 좋고, 복합 연비는 별로 차이가 없고, 현재의 배기량별 세금체계에서는 조금더 저렴한 세금이..
쌍용자동차 티볼리(TIVOLI) 차량에는 두가지 엔진을 선택할 수 있는데, 가솔린 엔진과 디젤엔진입니다. 일반 숏바디 티볼리에는 가솔린과 디젤중에 선택할 수 있고, 티볼리의 롱바디인 티볼리 에어(TIVOLI AIR)에서는 오로지 디젤엔진만 선택이 가능합니다. 티볼리에 들어가는 가솔린 엔진의 스펙은 최대출력 126마력(6000rpm)에 최대초크 16kg.m(4600rpm) 스펙의 자연흡기 엔진XGi)이 장착되며, 디젤에는 쌍용 디젤엔진을 말하는 XDi엔진이 장착됩니다. 배기량은 가솔린이랑 동일한 1.6(1600cc)이며, 비슷한 자동차세가 부과됩니다. 디젤의 최대출력은 115마력으로 경쟁 타사 차량들 대비해서 중간정도이며, 최대 마력은 4000rpm에서 나오는 구조입니다.디젤의 장점인 높은 최대토크는 15..
자동차 성능에 관심이 있거나 배기소리에 관심이 있어서 배기튜닝(머플러튜닝)을 해서 합법적으로 구조변경을 받을려면 몇가지 조건을 따라야 구조변경이 가능합니다. #구조변경은 신고만 하면 되는 신고제가 아니라 허가제다. : 구조변경을 신청만 하면 그냥 무조건 합법이 되는 신고만 하면 되는 신고제가 아니라 구조변경을 신청해서 구조변경 조건에 맞는지 검사를 받아서 승인을 받아야 하는 허가제이기 때문에 무조건 신청만 하면 되는게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구조변경시에 머플러 라인이 구조변경 조건에 맞는지와 적정 소음인(110dB)와 배기가스(매연) 검사를 통과해야 합니다. #순정형 가변머플러(가변배기)도 구조변경 대상입니다. :순정라인에 가변밸브만 장착하는 가변머플러에 대한 구조변경이 필요 없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