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크 X8을 4개월 정도 사용하다가 다른 오일을 사용해보고 싶어서 인터넷 가격으로는 비슷한 수준(쬐끔 더 비쌈)의 캐스트롤 마그네틱 5W30 C3 제품을 차에 넣었습니다. 캐스트롤 마그네틱 제품은 현재 4가지 제품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물론 마그네틱이라는 상표명은 10여년 정도 사용한 상표명이지만, 그동안 엔진오일의 규격이 발전됨에 따라서 계속 업그레이드한 제품이기 때문에 10년전 제품이랑 지금 제품이랑 완전히 틀리다고 할 수 있습니다. MSDS를 보면 영업비밀이 많지만, 기본적으로 3기유인 VHVI기유를 사용한 제품(CAS 64742-54-7)임을 알 수 있으며,마그네틱 제품의 초기시동에 대한 부분은 에스테르를 첨가(에스테르가 극성이 있기 때문에 엔진에 달라 붙을 수 있음)해서 초기시동시 마모를 줄이는..
대략 4개월 정도 사용(주행거리 3,000km)을 한 지크 X8에서 캐스트롤 마그네틱 5W30 C3로 엔진오일교체을 교체했습니다. 지크 X8이 느낌이나 성능적으로 문제가 있어서 교체한 것이 아니라 단지 캐스트롤 마그네틱은 안써본 오일이라 호기심으로 교체를 하게 되었습니다. 평소 이용하는 안성 쌍용모터스에서 캐스트롤을 취급하고 있고 여기에 캐스트롤이 있는데, 인터넷으로 캐스트롤 제품을 사서 가져가셔 교체해달라는고 하는 것 자체가 말이 안되는 것이라 쌍용모터스에 있는 마그네틱 5W30 C3제품을 넣었습니다.(협찬받아서 한게 아니라 직접 돈주고 했어요.. 오해금지) 안성 쌍용모터스에 있는 제품이 엣지 0W40 제품, 엣지 5W40 SN제품, 마그네틱 5W30 C3 제품인데요.마그네틱 5W30 C3제품도 VHV..
SK ZIC(지크)의 엔진오일은 여러가지 제품들이 있지만, VHVI기유를 사용한 100%합성유는 크게 3가지 라인업이 있습니다. X7, X8, X9 시리즈인데요. 지크 제품들이 저렴하다고 해서 광유라고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VHVI기유를 사용한 100%합성유 제품들입니다. 물론 VHVI를 합성유로 생각하지 않는 분들도 있겠지만, 전세계적으로 합성유로 인정하고 있는 만큼 합성유로 보는게 맞다는 생각입니다. 국산오일이 저렴한 이유는 국내에서 기유를 모두 생산하기 때문에 저렴한 것도 있습니다. 수입오일이 비싸다는 생각은 안하고 국산은 싸기 때문에 성능이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국내 정유사에서 생산하는 베이스유를 사서 해당 오일회사의 첨가제를 섞어서 국내로 들어오는 수입오일들도 많습니다. 수..
SK ZIC X8은 세계최초 이중인격 연기대결이라는 광고로 유명해진 제품중에 하나이며, 지금 인터넷에서 활발하게 판매중인 제품은 아니고 오픈마켓 1곳(11번가)에서만 판매중인 제품입니다. 국산 엔진오일이기 때문에 가격도 저렴한 1리터에 4600원선(실제 구매가격)으로 저렴한 편입니다. SK 지크가 여러 라인업이 있는데, ZIC X9가 기존 지크 XQ의 성능향상 리뉴얼 모델이고, X7이 기존 지크 A등급의 제품으로 사실상 사용된 기유는 유베이스(YUBASE)인 3기유 합성유인 VHVI기반으로 첨가제 비율과 성분만 틀린 제품이고, 실제로 이용후기를 보면 그래도 X9가 좀더 성능면에서 좋다고 알려져 있는데, 신제품인 지크 X8의 경우에는 라인업 모델명으로는 X9와 X7의 중간인데, 성분을 보면 또 낮은 등급은..
그랜져 HG LPI를 운행하면서 리터당 평균 3만원 정도에 팔리는 제품도 여러번 사용을 해봤고, 보증수리 받으면서 순정오일도 넣어봤습니다만, 순정오일도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광유는 아닙니다. 지금 동네 카센터를 사가도 100% 광유 오일을 찾아볼래야 찾아볼 수 없고, 순정도 거의 반합성이나 합성유로 만들어지고 있고, 국내나 해외브랜드에서 나오는 저렴한 오일도 못해도 최소 반합성 오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쉐보레 순정 dexos1 규격의 가솔린 엔진오일은 알페온 순정으로 많이 알려진 제품이고, 용량이 3.8리터와 6리터, 1리터 단위로 판매되는데, 그랜져HG LPI가 사용하는 람다II LPI엔진의 오일량은 5리터~5.5리터(5.5리터가 들어갈려면 오일팬 바닥까지 빨아낼 경우)가 사용되기 때문에 ..
저유가 시대이기도 하지만, 연비는 떨어져도 가솔린&디젤 대비해서 저렴한 연료비용으로 운행이 가능한 LPG차량에 대한 관심이 의외로 높은 것이 사실입니다.LPG차량은 연료분사 방식에 따라서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하겠습니다. 일반적인 구형 LPG차량은 LPG연료를 액체상태로 저장되어 있는 LPG Bombe에서 베이포라이저(Vaporizer)에서 기체로 기화시킨 다음에 믹서(Mixer)에서 공기와 기화된 연료를 섞어서 흡기관을 통해서 연료를 넣어서 엔진안에서 연소시키는 방식의 차량을 의미합니다. (사진출처 : http://www.eroomkorea.com ) 기체화된 연료를 믹서를 통해서 기계적으로 섞어서 엔진에 공급하기 때문에 출력이 떨어지고, 역화현상등의 단점이 있었습니..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