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금 판매되는 대부분의 그래픽카드에 달려 있는 쿨링팬들은 슬리브 베어링을 사용하기 때문에 오래 사용하면 소음이 커지면서 머리를 아프게 합니다. 그래픽카드 쿨러도 사제품으로 고성능 제품도 있지만, GTS450이 의외로 TDP가 높은 제품이긴 하지만, GTS450 한참 팔릴때에도 80mm팬을 사용한 기본형(?) 알루미늄 히트싱크 제품들도 냉각에는 문제가 없었기 때문에 그냥 비슷한 능력을 가진 싼걸로 갈아서 쓰는게 제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컬러풀(Colorful)의 GTS450 HERO BLACK 512MB짜리 제품인데, 중고 가격도 얼마 안하는 그래픽카드에 몇만원짜리 쿨링팬으로 교체해주는 것은 낭비이기 때문에 원래 달려 있는 것이랑 비슷한 스펙으로 제일 저렴한 제품으로 하기로 했습니다. 대부분 엔비디아(nVI..
이스트소프트 Zum의 스윙브라우저는 나온지 좀 된 브라우저이기도 하지만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제공하는 브라우저이기도 합니다. 스윙브라우저의 최대 강점은 크롬 기반에 마이크로소프트의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쓸 수 밖에 없는 이유인 액티브X가 가능한 브라우저이기 때문에 하나로 모든 걸 할 수 있다는게 강점이고 크롬 기반이기 때문에 크롬용 앱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스윙브라우저 다운로드 사이트 http://swing-browser.com/ 스윙브라우저의 기본 홈페이지는 당연히 ZUM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마음대로 변경이 가능한 만큼 문제가 안됩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즐겨찾기 모음과 같은 역활을 하는 퀵바 설정도 가능하며,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즐겨찾기를 불러올수도 있으며, 알패스에 가..
삼성 SEM-DT35라는 키보드가 저렴한 키보드중에서 가장 국내에서 아직도 인기가 많은 제품중에 하나일 것입니다. SEM-DT35는 여러가지 버전(?)이 존재합니다. 원조격인 삼성전기 DT35와 지피전자(큐센:삼성전기에서 키보드와 마우스 부분을 분사한 회사) DT35로 크게 나눠지고, 삼성전기 버전의 DT35도 초기형과 개선버전 몇개가 있고, 지피전자(큐센) DT35도 초기버전과 개선버전들이 존재하며, 큐센이 흔들~한후에 기존 A/S를 대행하던 업체에서 큐센에서 생산을 맡겼던 공장에서 똑같이 제품을 만들어서 이름도 비슷하게 출시하고 박스 디자인도 비슷하게 만든 DT35가 또 있습니다. 회사가 흔들~하자 이 제품이 그만큼 유명하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첫번째 사진과 두번째 사진의 DT35는 삼..
국내에서는 AMD보다는 인텔(INTEL) 사용자수가 훨씬 많기는 하지만, 인텔의 경우에 번들쿨러가 그렇게 많은 차이가 발생하지 않지만, AMD는 CPU의 종류에 따라서 여러가지 버전의 CPU쿨러들이 있기 때문에 이 쿨러들에 대해서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이 쿨러는 AMD AM3+ 비쉐라(8코러어 FX8300)에 기본으로 제공되는 제품로서, 쿨러가 포함된 멀티팩을 구매해야 같이 오는 제품으로 AMD순정 쿨러중에서 퀄리티나 성능면에서는 가장 좋은(?) 제품중에 하나입니다. 히트파이프가 S자형 배열로 2개가 들어간 제품이고, 히트싱크 디자인도 흔히 말하는 사제쿨러 타입으로 되어 있습니다. 쿨러마스터 로고(Cooler Master)가 찍혀 있는데, 사제 쿨러 메이커중에 하나인 쿨러마스터에서 OEM으로 제작했는지 ..
삼성전기부터 가장 유명하고 인기있는 제품이 DT35일 것입니다. 모델명은 그대로둔채 초기형이 되면 멀티키도 안되는 모양만 같은 원가절감 버전도 있었고, 그후로 멀티키 제대로 되는 버전과 삼성전기에서 큐센으로 분사하면서 나온 큐센버전도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진정한 오리지널 SEM-DT35중에 하나인 제품입니다.삼성이 큐센(QSEN)으로 바뀌면서 아쉽다는 사람들도 많았던 것으로 이 제품도 멀티키가 어느정도 되는 버전입니다.큐센 초기버전이랑 그냥 같은 제품으로 생각해도 됩니다. 중국의 동관 초열전자 유한공사에서 생산한 제품을 지피전자(주)가 인증받고 판매를 한 제품이고 A/S는 청맥전자에서 하던 제품입니다.큐센으로 가면서 초기형 K5000만해도(K5000+이전제품)에는 인증받은자 지피전자만 표기되고 생산업체는..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