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큐센(QSENN)에서 새로 출시한 SEM-DT45 PS/2버전을 구매했습니다. SEM-DT45의 가격대는 1만원 이하의 가격대로 판매되는 제품이지만 유명한 제품인 SEM-DT35랑 비교를 해도 될 정도로의 제품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에 SEM-DT35랑 비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큐센 SEM-DT45는 제품설명에도 가정용 및 게임용으로 설명되어 있는 제품으로 박스의 디자인 자체는 기존의 큐센 제품들이랑 별반 틀리지 않습니다. 게이머 에디션이라는 표기가 되어 있고, 106키에 생활방수를 지원하는 제품으로 비슷한 가격대의 멤브레인 방식의 키보드들이 가진 기능은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 사용자 및 게임유저에 최적화된 키보드!라고 표기되어 있는데, 구매를 해서 사용해보니 수긍이 가는 문구라고 생각됩니다. 제..
예전에 사용했다가 다용도로 좋은 성능을 내주었던 마이크로소프트 유선키보드, Wired Keyboard 600 [MS코리아정품] [블랙/USB]를 다시 구매했습니다. 일단 박스는 옛날에 나왔던 초기형 Wired Keyboard 600이랑 색상이 바뀐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기능도 약간 틀려졌고 가격대는 1만원 전후의 가격대로 저렴한편에 속하는 제품입니다. 모델명은 동일하나 잠수함패치를 하는 키보드들이 종종 있기 때문에 그냥 쿨하게 모델명 변경없이 패치되었구나 생각하고 일단 넘어갑니다. 제품전면에는 "패키지에는 한층 향상된 106키보드(한국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라고 적혀 있습니다. 말그대로 새롭게 패치된 제품이라는 것입니다. 특징은 미디어어키, 저소음 터치키, 생활방수 기능탑재로 표기되어 있으며, 구매..
제스코(JSCO)라는 브랜드는 무소음키를 장착한 마우스를 주로 팔던 브랜드인데, 제스코 상표로 플런져 방식의 키보드가 나왔고 컴퓨존에서 11,800이라는 가격에 세일을 하길래 구매를 해봤습니다. 개인적으로 기계식보다는 멤브레인 기반의 제품들을 좋아하는 편이라 망설임 없이 구매! "기계식 키보드 감각 이상의 새로운 플런져 키보드""제스코 올 뉴 플린저 시리즈 JCK-2000 LED"라고 되어 있습니다. 키보드 박스색상 구성은 다른회사들보다 살짝 튀어보이는 것은 있습니다. 박스 뒷면에는 이 제품의 기능에 대한 설명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가격대가 저렴한 금액에 나온 제품인 만큼(세일 안했어도...) 구성은 이 가격대 제품들 평균정도는 됩니다. LED등 기능이 몇가지 되는 제품인 만큼 설명서를 제공합니다. 키보..
요즘 게이밍 키보드라는 제품들이 그렇지 않은 제품들보다 흔한 시대입니다. 보통 게이밍 제품이라고 하면 게임에 유리한 성능과 스펙을 지니고 있어야 하고, 근래에는 키감도 중요하다고 해서 여러가지 방식의 제품들이 나오는데, 대표적인 방식중에 하나가 멤브레인 기반의 플린져 방식입니다. 일반적으로 멤브레인이라고 하는 방식을 기본으로 여기에서 파생된 펜타그래프 방식이 있고, 플린져 방식이 있는데, 플린져 방식도 기본적으로 필름형태의 멤브레인 기판을 사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플린져가 완전히 색다른 방식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스카이디지탈의 NKEY-P1은 플린져 방식을 채용한 완전방수를 표방한 제품으로 출시하면서 별매로 판매중인 키캡을 세트로 할인해서 팔길래 컴퓨존에서 직접 구매한 제품입니다. 가격대는 2만원..
삼성전기부터 가장 유명하고 인기있는 제품이 DT35일 것입니다. 모델명은 그대로둔채 초기형이 되면 멀티키도 안되는 모양만 같은 원가절감 버전도 있었고, 그후로 멀티키 제대로 되는 버전과 삼성전기에서 큐센으로 분사하면서 나온 큐센버전도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진정한 오리지널 SEM-DT35중에 하나인 제품입니다.삼성이 큐센(QSEN)으로 바뀌면서 아쉽다는 사람들도 많았던 것으로 이 제품도 멀티키가 어느정도 되는 버전입니다.큐센 초기버전이랑 그냥 같은 제품으로 생각해도 됩니다. 중국의 동관 초열전자 유한공사에서 생산한 제품을 지피전자(주)가 인증받고 판매를 한 제품이고 A/S는 청맥전자에서 하던 제품입니다.큐센으로 가면서 초기형 K5000만해도(K5000+이전제품)에는 인증받은자 지피전자만 표기되고 생산업체는..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