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처음 A3004NS-M을 샀을때가 2019 초여름이었는데, 이게 통풍구도 많은 공유기인데도 온도 때문에 와이파이가 불안정해지는 것 같아서 써멀을 재도포하고 썼었는데, 그후론 안정적이었습니다. 얼마전에 펌웨어 자체가 뻑나서 A/S가서 새걸로 교체되어서 왔는데, 그냥 쓸려고 했더니 역시나 또.. 와이파이가 불안정한 것 같아서 써멀 재도포를 위해서 또 분해했습니다. A3004NS-M은 거의 모든면이 방열구멍이 있고 특히 상단부에는 내부 방열판이 보일 정도로 통풍구가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이 적외선 온도계로도 어느정도 온도측정이 가능합니다. 사진으로는 표현이 힘들지만 위와 같이 내부 부품이 다 보일 정도로 상단면 통풍은 좋은 편인 제품이지만, 첫사진처럼 적외선 온도계로 체크해보면 공유기치고는 의외로 높은 온도가 ..
인터넷 공유기는 브랜드도 여러곳이고 각 브랜드별로 쓰는 부품이 다양한 제품중에 하나입니다. 인터넷 공유기 회사에서 나름 테스트해서 만들기는 하지만, 실험실 조건에서 테스트한 것과 실제 필드에서 쓸때는 틀려지는 부분이 많고, 특히 온도가 높은 곳에서 사용할 때에 발열로 인한 안정성 및 속도저하 현상이 생기고, 심하면 공유기가 고장나버리는 문제도 생길 수 있습니다. 공유기의 메인칩셋은 국내에서 팔리는 공유기들은 대부분 리얼텍(흔히 꽃게랑이라고 함), 퀄컴의 아세로스, 미디어텍, 브로드컴 제품들이 많이 탑재됩니다. 구형 공유기중에서는 라링크 칩셋도 간혹 있지만, 지금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라링크 제품을 제외하고 위에 열거한 회사의 칩셋을 주로 씁니다. 인터넷 공유기 자체도 일종의 컴퓨..
어느곳이나 인터넷을 사용하는 곳이면 인터넷공유기를 하나씩은 있을 것입니다. 얼마전에 장사를 하는 친구가 인터넷이 안된다고 해서 컴퓨터 수리를 직업으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봐준다고 하고 가봤는데, 증상이 POS결재가 느려지는 현상과 POS기 자체에서 인터넷 브라우저로 인터넷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었습니다. 브라우저 사용은 안되는 상황에서 POS결재는 느리지만 되는 상황이었습니다. 사용하는 인터넷은 국내 통신사의 케이블모뎀(광랜이 안들어가는 지역)이었고, 케이블 모뎀위에 공유기를 놓고 사용하고 있었습니다.처음에 공유기를 의심을 못했던 것이 무선인터넷은 아무 문제 없이 작동을 했기 때문인데, 이것저것 해보니까 공유기 설정으로 진입 자체가 안됩니다. -_- 공유기는 네티스코리아의 WF2411(단종모델)이었고,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