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W SAPS 디젤용 엔진오일이란?

반응형

요즘 나오는 엔진오일의 설명을 보면 "LOW SAPS"라는 말을 많이 보게 됩니다.

Low SAPS(Sulfate Ash,Phosphorus, Sulfur) 

쉽게 말해서 디젤차에서 사용하는 매연저감장치 DPF에 영향을 주문 황산회분, 인, 황 함량이 적은 오일을 말하며, 주로 DPF장착된 차량용 엔진오일 규격인 ACEA C3, C2등급의 오일 설명에서 볼 수 있는 내용입니다.

(Low SAPS의 반대말은 Full SAPS)



SK ZIC X7LS의 설명을 보면 Low SAPS라고 표기 되어 있는데, 황상회분/인/황의 함량을 줄인게 뭐가 중요하냐고 할 수 있겠습니다만, 황산회분/인/황 성분이 엔진오일에 들어가는 첨가제들인 마찰저감제와 청정분산제의 성분이기 때문입니다.



디젤엔진오일에 마찰저감제와 청정분산제가 안들어가는게 아니라 가솔린 전용으로 나온 엔진오일보다는 양과 비율을 조정해서 만들기 때문에 가솔린차에 가솔린전용 엔진오일을 넣는 것 보다는 부드러움이 덜 할 수 있다는게 중요 포인트입니다.


같은 회사에 같은 기유를 사용한 엔진오일일 경우에 가솔린전용제품과 가솔린/디젤겸용 제품이 있다고 했을때에 아무래도 Full SAPS 가솔린 전용오일보다는 부드러움과 소음에서 불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ACEA C3등급을 획득한 오일들이 대부분 API SN등급을 획득을 하지만, 연비규격인 ILAC GF5등급을 획득하지 못하는게 가솔린/디젤용 엔진오일의 특징중에 하나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가솔린/LPG차량을 운행한다면 C3등급이나 C2등급을 획득한 가솔린/디젤 겸용오일을 넣는다고 해서 차에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소음이나 감성질감, 연비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는 것이 포인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SK ZIC(지크) X7 5W30(가솔린/LPG용)를 보면 ILSAC GF-5등급을 획득했지만, 지크 X7LS 5W30(가솔린/디젤겸용)는 ILSAC 등급을 획득하지 못했습니다. 둘다 미국석유협회 API규격은 SN등급을 획득하고 있습니다.


X7 5W30 LS(가솔린/디젤/LPG겸용)의 40도 동점도는 70이고, 100도 동점도는 12이고, 점도지수 172입니다.

X7 5W30(가솔린/LPG용)의 40도 동점도는 64이고, 100도는 10.8이며, 점도지수 160으로서 같은 5W30오일이고 같은 라인업인데도 스펙이 틀림을 알 수 있고 저온점도가 낮은 가솔린/LPG용이 아무래도 저온에서 예열이 빠를 수 있고 더 부드러움을 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가솔린/디젤겸용을 넣는다고 해도 실질적으로 SN등급은 획득한 제품들이기 때문에 엔진에 악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가솔린이나 LPG승용차를 사용하고 있고, 연비도 챙기도 싶다면 ILSAC GF-5규격을 획득한 가솔린/LPG전용 오일을 쓰는게 연비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가솔린/디젤겸용 제품이고 Low SPAS오일인 에스오일 세븐골드의 경우에도 저온점도가 높은 편입니다. 



가솔린/LPG전용 오일인 API SN등급에 ILSAC GF-5등급을 획득한 세븐레드의 경우랑 비교를 해보면 물론 들어가는 첨가제도 틀리지만, 가솔린/LPG겸용 오일들이 대체로 동점도(저온점도)가 모두 낮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동점도가 높은 오일을 가솔린/LPG에 쓴다고 해서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닙니디만, 연비/소음면에서 불리할 수 있기 때문에 친환경 DPF나 요소수 시스템이 달리는 디젤차는 선택권 없이 무조건 LOW SPAS제품을 사용해야 하지만, 가솔린이나 LPI, LPGI, LPG차량들은 굳이 그럴 필요 없이 가솔린이나 LPG전용 오일을 쓰는게 이득이라는 결론입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