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택가의 유리재질의 쓰레기 및 유리병은 마대자루에 버려야 합니다. 마대자루에 넣어서 배출 할 때에 윗 부분이 잘 보이게 어떤 쓰레기가 들어 있는지 배출해야 환경 미화원분들이 부상 위험 없이 수거할 수 있습니다.동네 편의점에서는 쓰레기 봉투만 팔지 마대자루는 팔지 않아서 인터넷으로 구매했습니다.구매한 제품은 호리미 마대 포대 자루 피피마대 재활용마대 40kg으로 표시된 제품으로 25장 용량입니다. 아파트 같이 재활용 쓰레기를 버리기 좋은 곳에서는 필요가 없지만 일반 단독주택이나 상가에서는 드링크병이나 유리재질 을 버릴 때에 마대자루에 버려야 합니다.비닐팩에 배송 받을 수 있었고 내부에 25장의 마대자루가 들어 있는 구성으로 재활용품 버리는 용도이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한 대신에 전체적인 품질은 아주 좋은 편..
현대 그렌저 HG의 루프몰딩(루프사이드 몰딩)은 차량의 색상과 동일하게 되어 있는게 특징인데, 문제는 이 루프몰딩의 페인트가 거북이 등딱지처럼 갈라지고 벗겨진다는 것입니다. 그렌저 IG도 같은 증상이 있는 차량인데 어차피 보증기간 지났으면 사비로 교체해야 하는데요. IG는 그래도 색상이 칠해진 상태로 부품을 팔지만 HG는 색상이 칠해진 부품이 단종되어서 HG는 블랙 유광과 블랙 무광만 판매되기 때문에 블랙유광을 사서 장착하든지 무광을 장착하든지 무광을 구매해서 차량색상 도색코드에 맞게 도색해서완벽히 하는 3가지 선택권이 있습니다. 차량 외부 천장은 사고날일이 거의 없고 실질적으로 저건 부품 자체의 도장 불량으로 생각되는 부분이지만 무상보증은 다 지난 차량들이기 때문에 사비로 교체해야 깔끔해집니다. 그래도..
원봉 워터피아 WFP-860을 직접 구매해서 만족하면서 사용 중이었는데, 한 가지 불만은 온수 코크에 안전 스위치가 달려 있어서 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코크 레버를 눌러야 물이 나오기 때문에 의외로 불편했습니다. 온수 코크의 불편함을 줄여줄 수 있는 안전 버튼이 적용되지 않은 코크는 따로 팔고 있지 않아서 WFP-860용 냉수용 코크를 온수용에 장착할려면 인터넷으로 WFP-860용 냉수코크를 구매했습니다. 온수 코크와 냉수 코크는 디자인이 100% 동일하고 스위치가 작동하느냐와 안 하느냐의 차이일 뿐이고 WFP-860은 디자인을 위한 코크커버가 있는 정수기이기 때문에 냉수 코크로 교체해도 실제 외관상 차이가 없게 됩니다. WFP-860을 분해하는 방법은 유튜브에도 몇개의 동영상이 있기 때문에 그대로 하면..
몇일전에 필터 교환시기가 다가온 원봉 워터피아 WFP-860 정수기에 기존의 9인치 원봉 골드필터를 제거하고 11인치 세진아쿠아 필터로 전체 교체했습니다. 이유는 별다른게 없고 전에 5단계를 썼었고 필터를 관리하기 편하게(?) 그냥 싹 교체해버렸습니다. 원봉 워터피아 WFP-860 세진아쿠아 프리미엄 필터로 교체 오랜기간 원봉 워터피아 WP1000을 7단필터로 개조해서 쓰다가 4달전에 신제품인 WFP-860을 인터넷구매해서 직접 설치해서 사용중었습니다. 요즘 나오는 정수기들은 슬립형이라서 그런지 5단계 TCR까지 적용된 제품.. monolith79.tistory.com 그런데, 옛날에는 필터세트를 사면 TCR(후처리 카본필터)용 클립을 줬던 것 같은데, 이번에는 TCR용 필터 클립이 안들어 있어서 급하게..
구글 애드센스 사용자을 위한 2019년 9월 정책업데이트 메일이 도착했습니다. 애드센스 게시자님께,Google의 모든 게시자 제품에 적용되는 게시자 정책 변경으로 인해 운영 중이신 애드센스 계정이 영향을 받게 되어 알려드립니다.2019년 9월에 Google 게시자 제품(애드센스, AdMob, Ad Manager) 전반에서 일부 콘텐츠 정책이 변경됩니다. 이번 정책 변경이 지금 당장 게시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없기 때문에 별도의 조치를 취하실 필요는 없지만, 다음 달에 변경되는 내용을 숙지하시려면 본 이메일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변경 이유게시자가 가장 많이 요청하는 사항 중 하나는 정책을 단순화하고 간소화해 달라는 것입니다. 대다수의 게시자가 Google의 여러 게시자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만큼 Google..
잘만테크의 TM270 PLS 제품이 전원접촉 불량으로 잘 안켜질때가 있더군요. 일단은 전원 문제인게 확실하니까 중국산 전원아답터(원래 잘만에서 제공한 제품)를 쿠팡에서 마하링크의 국산아답터로 교체(같은 용량인 12V 5A)를 했지만 동일한 증상이더군요. 결국은 전원아답터 불량은 아니라는 것은 확실해져서 아답터가 꼽히는 AD보드쪽을 의심하게 되었습니다. 모니터 AD보드에 달린 DC입력짹쪽에서 접촉불량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어서 모니터를 일단 분해했습니다. 뒷면에 볼트 모두 풀고 전면 베젤을 들어내면 모니터 LCD를 빼낼 수 있는데 문제는 전면베젤 부분에 접착제 처리된 부분이 있기 때문에 베젤을 빼낼때에 조심해야 합니다. 전면베젤을 분리하면 LCD를 바로 들어낼 수 있는데, LCD패널 뒷면에 짹을 주의해서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