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베트남 아메리카노 커피라면 유명한 제품이 있지만 요즘 들어서 쇼핑몰에서 많이 보이는 제품이 비나카페이고 가격도 저렴한 편이여서 구매해 봤습니다. 가격대는 국내 아메리카노 100스틱 제품과 비슷한 가격대이지만 이 제품은 스틱당 용량이 2g으로 국내 브랜드 제품보다 두배 용량을 제공하는 제품입니다. 따로 검색해 보진 않았지만 1968년도에 만들어진 브랜드라고 표시되어 있으며 내용량 200g으로 커피스틱 1개당 용량이 2g으로 국내 제품들 평균이 1g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두배 용량의 제품입니다. 다른 베트남 브랜드와 동일하게 비닐백에 제품이 들어 있는 구성이며, 따로 박스포장 제품은 판매되지 않습니다. 구글 제미나이에 검색해보면..비나카페는 베트남의 대표적인 커피 제조 회사인 비나카페 비엔호아(Vinacafe..
블로그로 수익을 올리고 싶은 사람들이 많고 네이버 블로그는 애드포스트를 사용해야 하는데, 애드포스트가 개인적으로 실험식으로 네이버 블로그를 관리하고 사용해보니까 의외로 수익이 안될 수 밖에 없습니다. 네이버는 다른 블로그(티스토리)처럼 스킨을 마음대로 수정할 수 없고, 타사의 광고게재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블로그 게시물 하단에 달리는 애드포스트 텍스트 광고만 공식적으로 허용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배너포함 1페이당 3개까지 자유롭게 원하는 위치에 광고를 게재할 수 있지만, 애드포스트는 광고 위치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애드포스트 설명페이지에 있는 것처럼 PC나 모바일 모두 포스팅한 게시물 하단에 광고가 붙기 때문에 일단 사람들이 페이지를 제대로 다 읽을 정도의 포스..
2016년 들어서 다운사이징 엔진포함해서 터보차저를 장착한 가솔린 터보엔진 차량들이 많이 출시되었습니다. 디젤은 현재 판매중인 차량들은 다 터보차저가 적용된 차량들입니다만, 국산차에서 가솔린터보 차량은 성능위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 것은 사실인데, 실질적으로 신차 구매에 관심있는 분들은 시승기를 보고 구매판단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가솔린이나 디젤 터보차량 시승기에 꼭 빠짐없이 나오는 용어(?)가 터보랙 혹은 터보가 터지는 시점, 터보작동 시점식으로 언급이 되는데, 일단은 모두 비슷한 의미의 말들이긴 합니다. 그런데, 표현상의 문제는 살짝 좀재합니다. (사진출처 : www.kadekticaret.com) 터보차저가 적용되면 터보 작동시점에서만 작동하는게 아니라 시동을 걸면 엔진이 작동되고 배기가스..
2016년 신차로 출시한 올뉴말리부는 모두 가솔린 1.5와 2.0 터보엔진이 장착되었고, 아바떼AD 스포츠도 1.6터보엔진이 장착되었으며, 르노삼성의 SM6도 1.6터보엔진이 장착되었습니다. 기존 국내 자동차들은 가솔린일 경우에 거의 자연흡기식 엔진을 채용하고 있었고, 국내브랜드는 일부 차종만 가솔린터보다 장착되었는데, 요즘은 다운사이징이 대세인 만큼 신차들이 가솔린 터보엔진을 모두 탑재하고 출시되었습니다. 터보엔진의 핵심인 터보차저는 배기가스의 힘으로 터빈을 돌려서 흡기쪽에서 공기를 압축해서 엔진으로 보내주는 역활을 하는 부품입니다. 공기를 압축해서 엔진에 넣기 때문에 같은 배기량의 엔진이라고 공기밀도가 높아지면서 그만큼 연료를 더 분사해서 더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같은 터보가 장착되어 있어..
2016년 가솔린 차량들의 대세는 가솔린 터보엔진일 것입니다. 그래서 가솔린 터보엔진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것이 사실이고, 일반 자연흡기식 엔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배기량으로도 힘과 연비를 모두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엔진 배기량을 다운 시키고 터보를 국산차도 많이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디젤은 지금 국내에서 거의도 아니고 그냥 몽땅 터보가 적용된 엔진들인데, 디젤차를 살때에는 "디젤터보의 장단점"에 대해서 검색하거나 인터넷에서 질문하는 사람들이 극히 드물지만, 이상하게도 가솔린 터보차량에 대해서는 "가솔린 터보의 장단점"을 검색하거나 질문하는 사람이 많고, 막연히 가솔린 터보차는 관리가 힘들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그 논리하면 디젤은 그냥 몽땅 다 터보인데, 주변에 디젤차 관리 힘들다고..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